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83

중장년 내일 센터(일자리 희망센터) 현황 ▶ 워크넷 중장년 내일 센터(일자리 희망센터) 현황 바로가기 2023. 4. 10.
중장년 재취업! 일자리 내일 센터 : 정부 지원 서비스, 참여 대상, 신청 방법 [중장년 내일센터]는 [중장년 일자리 희망 센터]의 새 이름입니다. 중장년에 특화된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장년 내일 센터의 정부 지원 서비스와 참여 대상, 신청 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취업 지원 서비스 중장년에 딱 맞는 취업 서비스로 중장년에 특화된 맞춤형 취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중장년층에 대해 퇴직 이전 단계부터 구직 활동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고용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장년층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 맞춤형 종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1. 1:1 맞춤 재취업 / 전직 컨설팅 ▷ 전문 컨설턴트 배정 ▷ 개인별 체계적 분석 > 1:1 상담 ▷ 이력서 작성 및 면접 코칭 등 ※ 1:1 맞춤 재취업 컨설팅 프로그램 구성 취업활동계획 수립 → 구직서류(이력서 및 자기.. 2023. 4. 7.
2023년 근로 자녀 장려금 : 정기 신청 기간/방법, 자격 요건/지급 대상, 최대 금액 2023년 5월부터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정기신청이 시작됩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자격 요건(장려금 지급 대상), 수급 가능한 최대 금액에 대해 핵심만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청 기간 및 방법 1. 신청 기간 신청기간은 5월 한 달간인데, 5월 중 신청을 못했더라도 6월 ~ 11월까지 기한 후 신청기간이 주어지기 때문에 신청 자체는 가능합니다. 다만 기한 후 신청 시 원래 지급 가능 급액에서 10%를 감액하고 지급하기 때문에 늦지 않게 정기 기한 내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신청 기간 정기분 : 5.1 ~ 5.31 기한 후 : 6.1 ~ 11.30 (10% 감액 지급) 신청 후 지급은 5월 신청분은 8월 지급, 기한 후 신청 분은 10월 ~ 다음 해 1월에 지급하게 됩니다. 즉, 빨리 신청하.. 2023. 4. 6.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가사랑 : 장점, 제공 서비스 종류, 이용 방법 가사랑이란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입니다. 정부가 인증한 법인이 직접 고용한 직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등록 업체의 정보도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가사랑 서비스의 장점,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사랑 장점은? 1. 정부 인증기관에 직접 고용된 가사 근로자가 서비스를 제공 2. 손해배상 수단 구비 3. 고객 비밀보호 제도 & 비밀 보장 4. 서비스 내용, 이용 요금 모두 공개 5. 표준 이용 계약으로 고품질 서비스 제공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는? 이용 가능 서비스는 돌봄, 양육부터 청소, 수리까지 집 안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과 [상황]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 가족 구성원의 보호 및 양육 자녀 양육, 산모 및 신생아 돌봄 노인 돌봄 환자 간병, 장.. 2023. 4. 5.
가사랑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가사랑 누리집 홈페이지에서는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제공기관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역별, 서비스 이용 가능 요일, 시간, 종류별 구분하여 검색 확인도 가능합니다. ▶ 가사랑 누리집 홈페이지 바로가기 가사랑 정부인증가사서비스 www.gasarang.go.kr 2023. 4. 4.
청년월세 지원 제도 10문 10답 : 소득 재산 거주 중단 조건/관리비 중복 수급 청년 월세 지원 제도 혜택을 받기 위해 가장 많이 궁금해하는 10가지 질문에 대해 답변해 드립니다. 소득, 재산, 거주, 중단 조건과 관리비 지원 여부 그리고 지자체 지원금과 중복 수급 가능여부 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ㅣ10문 10 답! 1. 원가구란 무엇인가요? 원가구는 청년 독립가구와 1촌 이내 직계혈족(부모)으로 구성된 가구입니다. 2. 청년가구는 반드시 [청년 단독] 거주해야 하나요? 청년 외 배우자, 자녀 등 동일 주소지에 거주 중인 가족으로 구성되어도 무관합니다. 단, 지원을 받기 위한 [연령 요건]과 [거주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3. 원가구의 소득 및 재산을 반드시 고려하게 되나요? 원가구의 소득 부분은 단지 생계를 실질적으로 달리하는지 고려하는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만 30세.. 2023. 3. 31.